발생면적 전체를 피해범위로 간주할 지 관건
수매가격 두고“등외가격·1등급 적용” 목소리

농식품부가 주로 전남북 지역에서 발생한 수발아 피해정도에 따른 면적을 집계한 결과 1만4823ha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남이 가장 많은 1만1216ha로 75%가량을 차지했고, 전북이 3506ha, 부산과 경남과 그리고 경북도 각각 46ha·42ha·13ha에서 수발아가 발생한 것으로 집계됐다.

농식품부에 따르면 전체 수발아 현상이 발생한 논 면적은 약 3만3000여ha로 이중 수발아 발생 비율에 따라 집계한 면적이 1만4823ha이다. 예를 들어 수발아 현상이 나타난 1ha규모의 논에서 10% 정도가 수발아를 보였다면 실제 발생면적을 10a로 보고 이를 발생면적으로 집계한 것이다.

농식품부는 또 수발아 정도와 발생양상에 따라 식용으로 가능한 것은 최대한 살린다는 계획인 것으로 알려졌다. 또 수발아 정도가 심각한 경우에는 식용 또는 가공용으로의 사용이 어렵다는 점에서 사료용으로의 전환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따라 수발아가 발생한 전체 피해면적을 모두 수발아 피해를 입은 것으로 간주하고 수매할 것인지, 수매가격은 어떻게 정할 것인지가 앞으로의 관건이 될 것으로 보인다. 수발아가 발생한 총 논 면적이 3만3000ha이고, 통계청 10월 생산예상량 10a당 540kg이란 점을 감안할 경우 쌀을 기준으로 처리해야 할 량이 17만톤이 넘는다. 또 농식품부가 실제 피해면적이라고 밝힌 면적 1만4823ha를 감안하더라도 8만톤에 달한다.

특히 수발아 피해를 입은 벼의 경우 품질이 나빠지기 때문에 수매가격도 공공비축미 가격의 절반가량에 불과할 가능성이 커 보인다는 점에서 이를 최소한 등외가격 또는 1등급 가격으로 수매해야한다는 현장과 국회의원의 요구가 맞물리면서 논란은 증폭될 것으로 보인다. 현장농민들은 최소한 등외가격에, 윤소하 정의당 의원은 수발아 피해를 입은 것에 대해서는 정부가 전량 1등급 기준으로 수매해 사료용으로 공급할 것을 요구했다.

이에 대해 농식품부 관계자는 “농촌진흥청의 수발아 관련 연구자료를 바탕으로 일단 피해정도에 따라 식용이 가능한 것은 가능한데로, 그렇지 않은 것은 사용처를 분리하게 될 것으로 보인다”면서 “수발아 피해가 심각한 것은 현재 밥쌀용이나 일반 식용 가공용 쌀 이외에 주정용이나 사료용으로 사용하는 것을 검토 중”이라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또 “주정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량이 한정돼 있고, 고미를 사료용으로 사용하고 있다”고 말해 주정용보다는 사료용으로 사용될 가능성이 커 보인다. 또 이 관계자는 “수발아가 발생했다고 해서 발생면적 전체를 수발아 피해지역으로 보고 수매를 할 경우 2차적으로 수매가격 하락에 따른 농가수익이 감소할 수도 있다는 점에서 대책마련을 검토 중”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은 이번 수발이 피해와 함께 신·구곡 시장격리 등으로 인해 신곡의 시장공급량이 당초보다 줄어들 것으로 전망했다. 농경연은 지난 25일 ‘쌀관측 속보’를 통해 “잦은 강우와 일조량 부족 등으로 인해 등숙률과 재현률이 평년보다 낮은 것으로 조사됐다”면서 “따라서 산지유통업체들에서는 가격 하락 등에 대한 막연한 불안감을 가질 필요가 없을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이진우 기자 leejw@agrinet.co.kr  
 

저작권자 © 한국농어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