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촌, 다문화·귀농귀촌 가구 증가로 다양화…주민 역량 활용해야

농촌주민들의 마을복지 활성화를 위해서는 농촌주민의 사회경제적 역량을 강화하면서 농촌마을 복지와 국가복지의 관계를 유형별로 차별을 두고 접근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박대식 선임연구위원 등의 ‘농촌주민의 사회경제적 역량을 활용한 마을복지 활성화 방향과 과제’에 따르면 국가 복지의 사각지대 보완을 위해서는 경증치매환자 돌봄과 농번기 마을공동급식 등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경증치매환자 돌봄·농번기 마을공동급식 등 필요  

박대식 선임연구위원은 “농촌마을 복지의 활성화는 주민들의 자발적인 참여와 유연하고 인간적인 개입을 통해 공공복지의 경직성에서 발생할 수 있는 복지 사각지대를 줄일 수 있다는 점에서 시급하게 추진할 정책과제”라며 “최근 다문화가정과 귀농·귀촌가구 등이 증가함에 따라 농촌 주민들의 사회경제적 역량도 다양화되므로 농촌주민의 다양한 사회경제적 역량을 적절하게 잘 활용할 경우 농촌의 마을복지를 보다 활성화시킬 수 있을 것”이라고 연구배경을 설명했다.

연구팀이 농촌주민 300명과 면단위 사회단체 120개, 이장 10명 및 독일의 사례를 조사한 결과 농촌주민의 경제적 역량과 정보기술 능력은 낮게 나타났지만 사회참여와 신뢰 및 지역공동체의식, 상호협력은 높게 나타났다.

농촌주민들의 사회복지서비스 이용률은 높지 않았다. 사회복지서비스 가운데 기초연금과 노인일자리사업, 건강·체조교실, 무료급식, 마을공동급식만 이용률이 10% 이상이었다. 이를 제외한 사회복지서비는 이용률이 낮았다.

농촌주민의 마을복지 관련 활동성의 경우 설문에 참여한 10개 마을 이장을 대상으로 조사했다. 최근 3년 동안 마을에서 주민들이 중심이 돼 참여한 경험이 있는 사업을 조사한 결과 노인복지사업과 기타 마을복지 관련 사업은 대부분의 마을에서 참여해 다양한 사업을 추진했으나 아동복지사업이나 장애인복지사업은 추진 실적이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농촌주민의 마을복지 만족도는 높게 나타났다. 마을복지 실태를 나타내는 삶의 질 만족도와 마을복지 수준 만족도는 대체로 높았다. 삶의 질 만족도의 경우 응답자의 94.4%가 ‘보통’ 혹은 ‘만족한다’고 응답했다. 마을복지 수준 만족도는 92%의 응답자가 ‘보통’ 혹은 ‘만족한다’는 반응을 보였다.

박 위원은 농촌주민의 사회경제적 역량을 활용한 마을복지 활성화를 위해서는 농촌주민의 사회경제적 역량을 적극 활용하면서 역량강화는 물론 마을복지와 국가복지와의 관계를 유형별로 차별화해 접근할 필요가 있다고 제시했다.

국가복지의 사각지대를 보완하는 방안은 경증치매 환자 돌봄과 농한기 마을복지 사업의 추진이 필요하고, 사회복지서비스가 절대 부족한 부문의 보충 방안으로 말벗(정서지원) 서비스 확대와 농번기 마을공동급식이 제시됐다. 특히 기존 국가 복지사업의 문제점을 개선하는 과제로 행복꾸러미 사업과

노인공동생화홈, 노인들의 눈높이에 맞는 정보화교육 및 마실 반찬서비스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박 위원은 “마을 고유 복지사업은 마을 공동재산이나 기금을 활용하거나 주민참여 예산제 등을 잘 활용할 필요가 있다”며 “법적·제도적 기반정비를 위해서는 국가 차원의 마을복지 지원체계 구축과 면 단위 지역사회 보장협의체 활성화 및 읍·면·동 복지허브화 사업의 개선 등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문광운 기자 moonkw@agrinet.co.kr
 

저작권자 © 한국농어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