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농어민신문 이현우 기자] 

원유기본가격을 결정하는 협상이 9일 시작된 가운데 낙농가들은 생산비 상승 등을 감안해 원유기본가격을 충분히 입장해야 한다고 요구하고 나섰다. 사진은 착유 모습.
원유기본가격을 결정하는 협상이 9일 시작된 가운데 낙농가들은 생산비 상승 등을 감안해 원유기본가격을 충분히 입장해야 한다고 요구하고 나섰다. 사진은 착유 모습.

음용유 최대 104원 인상 가능
낙농가 생산비 급등 반영 촉구
유업체는 ‘최소 인상률’ 고수


올해 원유기본가격을 결정하는 협상이 시작됐다. 생산자들은 각종 생산비 상승 등을 감안해 인상률을 충분히 적용해야 한다는 입장인 반면 유업체는 잉여 원유 등을 감안해 최소 인상률 적용을 고수하는 입장으로 알려져 올해도 치열한 협상이 진행될 전망이다.

9일 첫 회의를 개최한 원유기본가격조성협상소위원회는 낙농진흥회 이사 중에서 생산자 3명, 유업체 3명, 낙농진흥회 1명 등 7명으로 구성해 6월 한 달 동안 협상을 진행한다. 1월부터 시행된 정부의 용도별 차등가격제를 감안해 올해 원유기본가격 조정 범위는 음용유 69~104원(1리터 기준), 가공유 87~130원이다. 소위원회에서 조정 협상을 완료해 낙농진흥회 이사회를 통과하면 8월 1일부터 해당 가격을 적용한다.

낙농가들은 사료가격과 인건비 등 생산비가 크게 오른 점을 감안해 원유기본가격을 최대한 인상해야 한다고 요구하고 있다. 원유기본가격을 충분히 인상하지 않으면 경영난으로 낙농업을 포기하는 농가들이 줄줄이 발생할 수 있다는 것이다.

우유자조금관리위원회(위원장 이승호)에 따르면 2022년 낙농가 숫자는 4600호로 전년대비 133호 감소했고 최근 2년 사이 약 300곳의 낙농가가 폐업했다. 사료비 등 생산비 급등으로 경영난을 견디지 못하면서 낙농가들의 폐업이 늘고 있다는 것이다. 실제 2022년 우유생산비(통계청 축산물생산비 조사 결과)는 2021년 대비 13.7%(115.76원) 상승한 리터당 958.71원이다. 젖소용 배합사료 평균가격이 전년대비 22.9% 상승하고 젖소 수송아지 산지가격이 53만7000원에서 16만9000원으로 68.5% 하락했다.

올해 원유기본가격 조정 범위는 음용유 69~104원(1리터 기준), 가공유 87~130원이다. 각종 생산비 증가로 경영 어려움을 겪고 있는 낙농가들은 경영 유지 등을 위해 인상폭을 최대화해야 한다고 요청하고 있다.
올해 원유기본가격 조정 범위는 음용유 69~104원(1리터 기준), 가공유 87~130원이다. 각종 생산비 증가로 경영 어려움을 겪고 있는 낙농가들은 경영 유지 등을 위해 인상폭을 최대화해야 한다고 요청하고 있다.

이에 따른 2022년도 젖소 마리당 순수익은 2021년 보다 37.2% 감소한 152만9000원으로 집계됐다. 특히 낙농가의 약 40%를 차지하는 50마리 미만 소규모 농가들의 경우 젖소 마리당 순수익이 고작 1000원에 불과했다. 생산비 급등에 따른 수익성 악화가 낙농가 폐업으로 이어지고 있다는 것을 입증하고 있다.

낙농업계 관계자는 “한국은 우유생산비를 1~2년 단위로 뒤늦게 원유가격에 반영하는 구조다. 그래서 농가들이 일정기간 동안 생산비 상승폭을 감내하고 있다”며 “반면 낙농 선진국들은 낙농가의 생산비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원유가격을 신속히 반영하고 있다. 미국은 지난해 원유가격이 55%, EU는 37% 상승했다”고 설명했다. 또 “한 번 무너진 낙농 생산기반을 다시 회복하려면 상당한 시간이 필요하다”며 “생산비 급등과 수익성 악화로 낙농가의 우유생산 기반을 확보하려면 올해 원유가격 조정이 불가피하다”고 강조했다.

또 다른 낙농업계 관계자는 “예전 산정방식을 적용했다면 리터당 104원과 127원 사이에서 가격이 결정됐겠지만 제도 개편으로 최대 104원까지 밖에 가격인상을 할 수 없다”며 “낙농가 입장에선 원유기본가격을 올려주지 않으면 생산비 상승분을 상쇄할 방법이 없다. 각종 비용 상승분을 원유기본가격에 충분히 반영하지 않으면 낙농을 더 이상 할 수 없다”고 호소했다.

이와 관련 농림축산식품부 관계자는 “6월 한 달 동안 협상을 진행하고 이사회 의결에 따라 협상기간을 연장할 수 있다”며 “유업체는 여전히 잉여물량이 있어서 경영이 어려운 만큼 인상률을 최소화하고 싶다는 입장이고 생산자들은 최대한 인상액을 적용하고 싶을 것이다. 그 사이에서 협상을 통해 접점을 찾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현우 기자 leehw@agrinet.co.kr

저작권자 © 한국농어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